피우메 자유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우메 자유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로 인해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사이에서 영토 분쟁이 발생하면서, 열강의 중재로 1920년 라팔로 조약을 통해 수립된 독립국가이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피우메를 국제 연맹의 본부로 삼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탈리아의 시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피우메를 점령하고, 1922년 이탈리아 파시스트의 쿠데타 이후 이탈리아에 합병되면서 약 4년 만에 소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가 피우메를 점령하고 자치주의자들을 탄압하면서 자유국 부활 시도는 좌절되었고,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으로 유고슬라비아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국가 - 모나코
모나코는 프랑스 리비에라에 위치한 작은 독립국으로, 그리말디 가문의 통치 아래 관광과 금융을 중심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카지노와 모나코 그랑프리 등으로 유명하다. - 도시국가 -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말레이 반도 남단에 위치한 도시 국가로, "사자 도시"를 뜻하는 싱가푸라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스탬퍼드 래플스에 의해 무역 기지로 설립된 후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발전된 도시 국가로 성장했고, 다민족 국가로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강력한 정부 주도의 경제 정책과 엄격한 법률 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 크로아티아의 역사 -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을 따라 뻗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지역으로, 고대 로마 속주였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인식되지만 명확한 법적 경계는 없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문화적 교류를 거쳐 크로아티아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크로아티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으로, 바이에른 왕가와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군주제 폐지와 군사 정권 수립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피우메 자유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피우메 자유국 |
이탈리아어 | Stato libero di Fiume |
헝가리어 | Fiumei Szabad Állam |
독일어 | Freistaat Fiume |
크로아티아어 | Slobodna Država Rijeka |
약칭 | 피우메 |
위치 | 리예카 |
![]() | |
![]() | |
![]() | |
정치 | |
정부 형태 | 공화국 |
수도 | 피우메 (Rijeka) |
대통령 | 리칼도 자넬라 (1921–22) 조반니 주리아티 (1922–23) |
군사 총독 | 가에타노 조르디노 (1923–24) |
역사 | |
시대 | 전간기 |
이전 국가 | 이탈리아 카르나로 섭정국 |
![]() | |
라파로 조약 | 1920년 11월 12일 |
통제 확립 | 1920년 12월 30일 |
쿠데타 | 1922년 3월 3일 |
이탈리아 왕국 합병 | 1924년 2월 22일 |
이후 국가 | 피우메 현 |
![]() | |
언어 | |
공용어 | 이탈리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
지역어 | 베네토어 크로아티아어차크어 방언 |
경제 | |
통화 | 피우메 크로네 (1920년까지) 이탈리아 리라 (1920년 이후) |
면적 | |
면적 | 28 km2 |
현재 | |
현재 국가 | 크로아티아 |
2. 정치적 배경과 독립 국가 수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피우메(Fiume)의 지위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 간의 분쟁이 심해지자,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미국 등 강대국들은 독립적인 완충국 수립을 주장했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피우메를 둘러싼 유고-이탈리아 분쟁의 중재자가 되었으며,[3] 피우메를 독립국가이자 국제 연맹의 잠재적인 본부로 삼는 것을 제안했다.[4]
이러한 분쟁은 무법 상태를 초래했고, 피우메는 남슬라브 민족위원회와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 사이에서 권력이 반복적으로 바뀌는 혼란을 겪었다. 결국 영국과 프랑스군이 상륙하여 도시를 장악하게 되었다. 당시 공식 통화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지폐인 피우메 크로네였는데,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는 이 지폐에 자체 도장을 찍어 사용했다.
1921년 4월에는 자유국과 항구 운영 컨소시엄 계획을 승인하는 선거인단 투표가 진행되었고, 자치주의자와 친이탈리아 민족 블록이 경쟁한 최초의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다수의 크로아티아인들의 표를 얻은 자치당은 6,558표를, 파시스트, 자유주의, 민주당으로 구성된 민족 블록은 3,443표를 얻었다. 자치당 대표인 리카르도 자넬라가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자유국에 대한 통제권은 끊임없이 변동되었다. 1920년 12월 단눈치오 군대가 철수한 후,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가 다시 통제권을 장악하고 임시 정부를 임명했다. 이후 현지 이탈리아 사령관과의 협정에 따라 1921년 1월 18일 군부가 통제권을 장악했다.
단눈치오 충성파 집단이 일부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으나, 9월에 다시 축출되었다. 10월에는 자치주의자 리카르도 자넬라가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되었고, 그의 통치는 1922년 3월 3일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합법 정부가 크랄예비차로 탈출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3월 6일, 이탈리아 정부는 질서 회복을 요청받았고, 이탈리아군은 3월 17일에 도시에 진입하여 이탈리아 합병주의자들에게 충성하는 입법의회 소수파에게 통제권을 반환했다.[8]
라팔로 조약 선포 후, 피우메 공산당 (Partito Comunista di Fiume – Sezione della III.a Internazionale|피우메 공산당 - 제3인터내셔널it)이 1921년 11월에 설립되었다. 피우메 공산당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공산당이었다. 이는 각 주권 국가가 자체 공산당 조직을 가져야 한다는 제3 인터내셔널의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9]
1924년 1월 27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로마 조약을 체결하여 이탈리아에 의한 피우메의 합병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에 의한 수샤크의 합병에 동의했다.
2. 1. 피우메 분쟁과 국제 사회의 개입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피우메(Fiume)의 지위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 사이의 분쟁이 심해지자,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미국 등 강대국들은 독립적인 완충국을 만들 것을 주장했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피우메를 둘러싼 유고-이탈리아 분쟁의 중재자가 되었으며,[3] 피우메를 독립국가로 만들어 국제 연맹의 본부로 삼는 것을 제안했다.[4]이 분쟁으로 인해 도시는 혼란에 빠졌고, 남슬라브 민족위원회와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 사이에서 권력이 বারবার(반복적으로) 바뀌었다. 결국 도시를 장악한 영국과 프랑스군이 상륙하게 되었다. 민족위원회는 공식 통화로 사용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지폐인 피우메 크로네에 자체 도장을 찍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틈타 이탈리아 시인이자 장군인 가브리엘레 단누нци오가 1919년 9월 12일 도시에 진입하여 15개월간 점령을 시작했다. 이탈리아 정부와의 협상이 실패한 1년 후, 단누нци오는 카르나로 이탈리아 통치를 선포했다.
1920년 11월 12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라팔로 조약을 체결하여 "피우메 국가의 완전한 자유와 독립을 인정하고 영원히 존중할 의무"에 합의했다.[5] 이 조약으로 "피우메 자유국"이 탄생했지만, 독립 국가로 존재한 기간은 약 4년에 불과했다. 새로 생긴 국가는 미국, 프랑스, 영국으로부터 즉각적인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단누нци오는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고, 1920년 12월 24일부터 30일까지 "피의 크리스마스" 사건에서 이탈리아 육군 정규군에 의해 도시에서 추방되었다.[6]
2. 2. 단눈치오의 피우메 점령과 카르나로 이탈리아 통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피우메(Fiume)의 지위 문제가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 간의 분쟁이 심해지자,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미국 등 강대국들은 피우메를 독립적인 완충국으로 만들자고 주장했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피우메를 국제 연맹의 본부로 삼는 방안까지 제안하며 중재에 나섰다.[3][4]하지만 이 분쟁으로 피우메는 혼란에 빠졌고, 여러 세력들이 번갈아 가며 도시를 장악했다. 결국 영국과 프랑스군이 상륙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공식 통화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지폐인 피우메 크로네였는데,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는 이 지폐에 자체 도장을 찍어 사용했다.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장군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1919년 9월 12일 피우메를 점령하고 15개월간 통치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정부와의 협상이 실패한 후, 단눈치오는 카르나로 이탈리아 통치를 선포했다.
2. 3. 라팔로 조약과 피우메 자유국 탄생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피우메(Fiume)의 지위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 간의 분쟁이 심화되자,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미국 등 강대국들은 독립적인 완충국을 만들 것을 주장했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피우메를 둘러싼 유고-이탈리아 분쟁의 중재자가 되었으며, 피우메를 독립국가이자 국제 연맹의 잠재적인 본부로 삼는 것을 제안했다.[3][4]이러한 분쟁은 무법 상태를 초래했고, 도시는 남슬라브 민족위원회와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 사이에서 주인이 바뀌는 상황이 반복되었다. 결국 영국과 프랑스군이 상륙하여 도시를 장악하게 되었다. 민족위원회는 공식 통화로 사용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지폐인 피우메 크로네에 자체 도장을 찍어 사용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틈타 이탈리아 시인이자 장군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1919년 9월 12일 도시에 진입하여 15개월간 점령을 시작했다. 이탈리아 정부와의 협상이 실패한 1년 후, 단눈치오는 카르나로 이탈리아 통치를 선포했다.
1920년 11월 12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라팔로 조약을 체결하여 양측 모두 "피우메 국가의 완전한 자유와 독립을 인정하고 영원히 존중할 의무"에 합의했다.[5] 이 조약으로 "피우메 자유국"이 탄생했지만, 독립 국가로서의 존속 기간은 약 4년에 불과했다. 새로 생긴 국가는 미국, 프랑스, 영국으로부터 즉각적인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단눈치오는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고, 1920년 12월 24일부터 30일까지 "피의 크리스마스" 사건에서 이탈리아 육군 정규군에 의해 도시에서 추방되었다.[6]
3.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이탈리아 합병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피우메(Fiume, 현재 리예카)의 지위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 간의 분쟁이 심화되자,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미국 등 열강은 독립적인 완충국 수립을 제안했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피우메를 국제 연맹의 잠재적인 본부로 삼는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3][4]
이러한 분쟁은 피우메에 무법 상태를 초래했고, 도시는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와 남슬라브 민족위원회 사이에서 통치권이 여러번 바뀌었다. 결국 영국과 프랑스군이 상륙하여 도시를 장악했다. 민족위원회는 공식 통화로 사용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지폐인 피우메 크로네에 자체 도장을 찍었다.
이 혼란스러운 상황을 틈타 이탈리아 시인이자 장군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1919년 9월 12일 도시에 진입하여 15개월간 점령을 시작했다. 이탈리아 정부와의 협상이 실패한 1년 후, 단눈치오는 카르나로 이탈리아 통치를 선포했다.
1920년 11월 12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라팔로 조약을 체결하여 양측 모두 "피우메 국가의 완전한 자유와 독립을 인정하고 영원히 존중할 의무"에 합의했다.[5] 이 조약으로 "피우메 자유국"이 탄생했지만, 독립 국가는 4년 정도 밖에 존속되지 못했다. 미국, 프랑스, 영국은 새 국가를 즉각 승인했다. 그러나 단눈치오는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고, 1920년 12월 24일부터 30일까지 "피의 크리스마스" 사건에서 이탈리아 육군 정규군에 의해 도시에서 추방되었다.[6]
1921년 4월, 자유국과 항구 운영 컨소시엄 계획을 승인하는 선거가 실시되었다.[7] 최초의 의회 선거에서 자치당은 6,558표를, 민족 블록은 3,443표를 얻었다. 자치당 대표인 리카르도 자넬라가 대통령이 되었다.
1924년 1월 27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로마 조약을 체결하여 이탈리아의 피우메 합병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수샤크 합병에 동의했다. 모든 당사국은 1924년 2월 22일 로마에서 이 협정을 비준했고, 같은 날 발효되었다. 이는 1924년 4월 7일 ''국제 연맹 조약집''에 등록되었다.[10] 피우메 자유국의 망명 정부는 이 조치를 국제법에 따라 무효이고 구속력이 없다고 간주하고 1950년대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11]
3. 1. 자치주의자와 민족주의자 간의 갈등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피우메(현 리예카)의 지위는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 간의 분쟁이 심화되자, 미국,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등은 피우메를 독립적인 완충국으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피우메를 국제 연맹 본부로 삼는 방안까지 고려했다.[3][4]이러한 분쟁은 피우메에 무법 상태를 초래했고, 도시의 통제권은 남슬라브 민족위원회와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 사이를 오갔다. 결국 영국과 프랑스군이 상륙하여 도시를 장악했다. 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장군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1919년 9월 12일 피우메에 진입하여 15개월간 점령했다. 그는 카르나로 이탈리아 통치를 선포하기도 했다.
1920년 11월 12일, 이탈리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라팔로 조약을 체결하여 피우메를 자유국으로 인정했다.[5] 미국, 프랑스, 영국도 이를 승인했다. 그러나 단눈치오는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고, 1920년 12월 "피의 크리스마스" 사건으로 이탈리아 육군에 의해 축출되었다.[6]
1921년 4월, 자유국과 항구 운영 컨소시엄 계획이 승인되었고,[7] 최초의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자치당이 6,558표, 민족 블록이 3,443표를 얻어 자치당 대표 리카르도 자넬라가 대통령이 되었다.
이후에도 피우메의 통제권은 불안정했다. 1920년 12월 단눈치오 군대 철수 후,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가 임시 정부를 세웠고, 1921년 1월 18일 이탈리아 사령관과의 협정으로 군부가 통제권을 장악했다.
단눈치오 지지 세력이 일부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으나 9월에 축출되었다. 10월에는 자치주의자 리카르도 자넬라가 임시 대통령이 되었지만, 1922년 3월 3일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의 쿠데타로 크랄예비차로 망명했다. 3월 6일 이탈리아 정부의 요청으로 이탈리아군이 진입하여, 3월 17일 이탈리아 합병주의자들에게 통제권을 넘겼다.[8]
라팔로 조약 체결 후인 1921년 11월, 피우메 공산당(Partito Comunista di Fiume – Sezione della III.a Internazionaleit)이 창설되었다. 이는 제3 인터내셔널의 원칙에 따른 것으로, 피우메 공산당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공산당이었다.[9]
3. 2. 파시스트 쿠데타와 이탈리아 합병
1920년 11월 12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라팔로 조약을 체결하여 양측 모두 "피우메 국가의 완전한 자유와 독립을 인정하고 영원히 존중할 의무"에 합의했다.[5] 이 조약으로 "피우메 자유국"이 탄생했지만, 독립 국가로 존재한 기간은 약 4년에 불과했다. 미국, 프랑스 제3공화국, 영국은 새 국가를 즉각 승인했다. 그러나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고, 1920년 12월 24일부터 30일까지 "피의 크리스마스" 사건에서 이탈리아 육군 정규군에 의해 도시에서 추방되었다.[6]1921년 4월, 자유국과 항구 운영 컨소시엄 계획을 승인하는 선거가 실시되었다.[7] 자치주의자와 친이탈리아 민족 블록이 경쟁한 최초의 의회 선거에서, 자치당은 크로아티아인들의 표를 얻어 6,558표를 획득했고, 민족 블록은 3,443표를 얻었다. 자치당 대표인 리카르도 자넬라가 대통령이 되었다.
1920년 12월 단눈치오 군대 철수 후, 피우메 이탈리아 민족위원회가 다시 통제권을 장악하고 임시 정부를 임명했다. 1921년 1월 18일, 현지 이탈리아 사령관과의 협정에 따라 군부가 통제권을 장악했다.
단눈치오 충성파는 일부 지역을 점령했으나 9월에 다시 쫓겨났다. 10월에는 자치주의자 리카르도 자넬라가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되었고, 그의 통치는 1922년 3월 3일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합법 정부가 크랄예비차로 탈출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3월 6일, 이탈리아 정부는 질서 회복을 요청받았고, 이탈리아군은 3월 17일에 도시에 진입하여 이탈리아 합병주의자들에게 충성하는 입법의회 소수파에게 통제권을 반환했다.[8]
라팔로 조약 선포 후, 피우메 공산당(Partito Comunista di Fiume – Sezione della III.a Internazionale)이 1921년 11월에 설립되었다. 피우메 공산당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공산당이었으며, 제3 인터내셔널의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9]
1924년 1월 27일,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은 로마 조약을 체결하여 이탈리아의 피우메 합병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수샤크 합병에 동의했다. 모든 당사국은 1924년 2월 22일 로마에서 이 협정을 비준했고, 같은 날 발효되었다. 이는 1924년 4월 7일 ''국제 연맹 조약집''에 등록되었다.[10] 피우메 자유국의 망명 정부는 이 조치를 국제법에 따라 무효이고 구속력이 없다고 간주하고 1950년대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11]
3. 3. 피우메 공산당
라팔로 조약 체결 이후, 1921년 11월에 제3 인터내셔널의 원칙에 따라 피우메 공산당(Partito Comunista di Fiume – Sezione della III.a Internazionale)이 설립되었다. 피우메 공산당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공산당이었다.[9]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항복하면서 피우메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1945년 5월 3일, 독일 점령군으로부터 피우메를 장악한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분쟁 해결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 따라 피우메(현재 리예카)와 이스트리아는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의 영토가 되었다.[18]
4. 1. 리부르니아 각서와 자치 운동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항복하면서 "피우메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1944년, 시민 단체는 피우메, 수샤크, 일리르스카 비스트리차 3개 지역으로 구성된 연방 국가 수립을 제안하는 "리부르니아 각서"를 발표했다.[21] 크르크섬(Veglia), 츠레스섬(Cherso), 로시니섬(Lussino)도 이 연방 국가에 포함될 예정이었다.[22] 망명 정부의 자넬라는 여전히 피우메 자유국 재건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23]4. 2. 유고슬라비아의 피우메 점령과 자치주의자 탄압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항복하면서 피우메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1944년 시민 단체는 "루비니 각서"[12]를 발표했는데, 이 각서에는 피우메, 수샤크, 일리스카 비스트리차 세 주(Canton)로 구성된 연방 국가를 만들자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크르크(베글리아), 크레스(체르소), 로시니(루시노) 섬도 공동 통치 지역에 포함될 예정이었다.[13] 망명 정부의 자넬라는 여전히 자유국 재건을 원했다.[14]1945년 5월 3일, 독일 점령군으로부터 피우메를 장악한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이러한 계획에 반대하며 분쟁 해결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 자치주의자 지도자들인 네비오 스컬, 마리오 블라시치, 세르지오 싱키치는 살해되었고, 자넬라는 잠적했다.[15][16][17]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 따라 피우메(현재 리예카)와 이스트리아는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의 영토가 되었다.[18]
참조
[1]
서적
Il nuovo Samani: Dizionario del dialetto fiumano
Società di Studi Fiumani
2007
[2]
서적
Trsatsko-bakarska i crikvenička čakavština
https://books.google[...]
Izdavački centar Rijeka
1996
[3]
서적
Peacemaking
https://books.google[...]
1919
[4]
서적
D'Annunzio u Rijeci : mitovi, politika i uloga masonerije
Izdavački centar Sušak, Biblioteka Dokumenti
2007
[5]
웹사이트
Treaty of Rapallo, Article 4
http://www.forost.un[...]
[6]
서적
International Law Reports
https://books.google[...]
[7]
서적
Routledge Companion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 Since 1919
https://books.google[...]
[8]
서적
International Law Reports
https://books.google[...]
[9]
서적
Il Partito Comunista di Fiume, (1921–1924): Documenti-Građa
Centro di ricerche storiche Rovigno, Fiume: Centar za historiju radničkog pokreta i NOR-a Istre
1982
[10]
간행물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1]
서적
Italia e Fiume 1921–1924: dal 'Natale di sangue' all'annessione
Cisalpino–Goliardica Istituto Editoriale
1982
[12]
문서
Liburnia
[13]
간행물
Liburnisti i autonomaši 1943–1944
1980
[14]
서적
L’antidannunzio a Fiume – Riccardo Zanella
Edizioni Italo Svevo
1995
[15]
웹사이트
La questione di Fiume dal 1943 al 1945
http://www.rigocamer[...]
[16]
서적
1945–1947, anni difficili (...)
https://books.google[...]
Del Bianco
2005
[17]
서적
Infoibati (1943–1945): i nomi, i luoghi, i testimoni, i documenti
https://books.google[...]
Mursia
2002
[18]
조약
Treaty of Peace with Italy
https://treaties.un.[...]
1947-02-10
[19]
서적
Il nuovo Samani: Dizionario del dialetto fiumano
Società di Studi Fiumani
2007
[20]
서적
Trsatsko-bakarska i crikvenička čakavština
https://books.google[...]
Izdavački centar Rijeka
1996
[21]
문서
Liburnia
[22]
간행물
Liburnisti i autonomaši 1943–1944
1980
[23]
서적
L’antidannunzio a Fiume – Riccardo Zanella
Edizioni Italo Svevo
1995
[24]
웹사이트
http://www.fiume-rij[...]
[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rijeka-dr[...]
2019-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